장례 용어 · 예절
대명아임레디의
일차별 장례 용어∙예절
1일차
- 임종
- 운명의 순간을 지켜보는 것
- 운명
- 숨을 거두는 것
- 소천
- 하늘의 부름을 받아 돌아간다는 뜻으로, 개신교에서 죽음을 이르는 말
- 별세
- 손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/죽음의 완곡한 표현
- 사망진단서
- 의사가 사람의 사망을 의학적으로 증명할 때 작성하는 문서
- 검사지휘서
- 병사 이외의 사인으로 사망한 경우, 검사 지휘아래 진행되는 경찰조사가 종료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
- 이송
- 고인을 현 위치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모심
- 안치
- 시신의 부패 등을 막기 위하여 냉장시설에 모시는 것
- 빈소
- 출상까지 고인의 관을 모셔두는 방/ 조문과 접객을 위한 공간을 통칭한 말
- 제단(제단장식)
- 빈소 내부의 영정사진과 위패를 모시는 제단을 장식하는 꽃 장식
- 안치실
- 시신의 부패 등을 막기 위한 냉장시설 및 위생시설을 갖춘 장소
- 접객실
- 조문객을 대접하기 위한 장소
- 부고(부음)
-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일, 또는 알리는 말
- 조문
- 고인께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일
- 문상
-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을 위로하는 일
- 상주
- 고인의 자손으로 장례를 주관하는 사람
- 유족
- 고인의 친인척
- 위패
- 고인의 성함을 적은 나무패
- 부의록
- 문상객들의 이름과 부의금을 기록한 명부
- 혼백
- 고인의 혼이 머물 수 있도록 임시로 만들어 놓은 위패
- 완장
- 일제강점기 가정의례준칙으로 인한 장례 간소화에 따라 상주와 상복인을 표시하기 위해 팔에 착용하는 띠
- 상장
- 양복 형태의 상복을 입을 때 가슴에 부착하는 리본
- 굴건제복
- 전통 상장례의 상복. 거친 삼베로 만들어져 있으며 머리에 쓰는 두건과 입는 제복으로 이루어져 있다
2일차
- 입관
- 염습한 고인을 관에 모시는 것
- 염습
- 고인을 목욕시키고 수의를 입히는 것
- 입관실(염습실)
- 고인을 염습하고 입관하는 장소
- 참관실
- 염습, 입관 시 유족이 참관하는 장소
- 관
- 고인을 모시고 장지까지 운반하는 상자
- 솔송 관
- 소나무로 만들어진 관. 매장에 주로 사용된다.
- 수의
- 염습할 때 고인에 입히는 옷
- 도포
- 고인의 웃옷(남성용) / 조선시대 남성들의 통상적인 예복
- 원삼
- 고인의 웃옷(여성용) / 조선시대 여성들의 예복
- 천금
- 입관 시 고인을 덮는 이불
- 지금
- 입관 시 고인 아래 까는 요
- 습신
- 고인에 신기는 신발. 수의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.
- 영구
- 고인이 모셔진 관을 이르는 말
- 관보
- 영구를 덮어 감싸는 덮개
- 수시포
- 사망 직후 고인을 덮어 모시는 홑이불
- 결관바(소창)
- 영구를 들어 모실 수 있도록 고정하는 용품
- 예단
- 푸른 실(청실)과 붉은 실(홍실)로 만들어진 용품으로 이승과의 결별, 저승과의 결연을 의미함
- 다라니
- 불경의 하나로 고인의 평안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용품
- 공포
- 관을 닦는데 사용하는 삼베 용품
- 멧배(염포, 염배)
- 고인의 몸을 바르게 묶어 모실 때 사용하는 삼베 끈
- 천판
- 관의 뚜껑
- 명정
- 고인의 관직, 본관, 성명 등을 쓴 붉은 천
- 소렴
- 입관 절차의 하나. 고인에 수의를 입힌 후 관절을 묶어 관에 모실 준비를 하는 절차
- 대렴
- 입관 절차의 하나. 소렴이 끝난 고인을 멧베로 묶어 관에 모시는 절차
- 성복제
- 입관 후 상주들이 상복을 입고 올리는 첫 제사. 현대 상장례에선 입관 전에 상복을 입기도 한다.
- 상식
- 고인이 살아계실 때 식사하듯 빈소에 아침 저녁으로 올리는 음식상
3일차
- 운구
- 영구를 장지로 운반하는 절차
- 발인
- 상가 또는 장례식장에서 영구를 운구하여 장지로 떠나는 절차
- 발인제
- 상가 또는 장례식장에서 영구를 운구하여 장지로 떠날 때 드리는 제사
- 장지
- 고인을 매장하거나, 화장하여 모시는 장소
- 2차 장지
- 화장하는 경우 화장한 유골을 모시는 장소
(1차 장지 : 화장시설) - 장법
- 고인을 모시는 방법. 우리나라에선 보편적으로 화장과 매장이 선호된다
- 매장
- 고인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모시는 것
- 화장
- 고인이나 유골을 불에 태워 모시는 것
- 탈관
- 가풍이나 지역에 따라 영구를 장지까지 운반한 뒤 매장지에서 관을 제거하고 고인만 땅에 묻어 모시는 것
- 관장(매관)
- 영구를 관 그대로 땅에 묻어 모시는 것
- 봉안(납골)
- 화장한 유골을 용기나 전용시설에 모시는 장법. 과거 납골이라는 용어를 현재 봉안으로 사용하고 있다
- 산골
- 화장한 유골을 분골(곱게 가루 냄)하여 전용 시설에 뿌려 모시는 장법
- 자연장
- 화장한 유골을 분골하여 수목, 화초,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모시는 장법
- 해양장
- 화장한 유골을 분골하여 바다의 지정된 해역에 뿌려 모시는 장법
- 탈상
- 상복을 벗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
- 산신제
- 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올리는 제사. 산신께 이 곳에 묘를 세우니 보우를 기원하는 제사
- 평토제
- 광중을 흙으로 메우고 평평하게 만든 뒤 올리는 제사.
- 성분제
- 봉분 (흙을 둥글게 올린 무덤형태)을 만든 뒤 올리는 제사
- 삼우제
- 발인 일로부터 2일째 되는 날 올리는 제사
- 횡대
- 매장할 때 영구 위에 흙이 직접 닿지 않도록 덮는 나무토막 혹은 널빤지
대명아임레디의
항목별 장례 용어∙예절
기본용어
- 임종
- 운명의 순간을 지켜보는 것
- 소천
- 하늘의 부름을 받아 돌아간다는 뜻으로, 개신교에서 죽음을 이르는 말
- 장례
- 죽음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뤄지는 일련의 의례
- 장사
- 시신을 처리하는 일련의 행위
- 부고(부음)
-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일, 또는 알리는 말
- 상주
- 고인의 자손으로 장례를 주관하는 사람
- 유족
- 고인의 친인척
- 조문
- 고인께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일
- 문상
-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을 위로하는 일
- 운명
- 숨을 거두는 것
- 별세
- 손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/죽음의 완곡한 표현
- 사망진단서(사체검안서)
- 의사가 사람의 사망을 의학적으로 증명할 때 작성하는 문서
- 검사지휘서
- 병사 이외의 사인으로 사망한 경우, 검사 지휘아래 진행되는 경찰조사가 종료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
장례용품
- 관
- 고인을 모시고 장지까지 운반하는 상자
- 솔송 관
- 소나무로 만들어진 관. 매장에 주로 사용된다.
- 수의
- 염습할 때 고인에 입히는 옷
- 도포
- 고인의 웃옷(남성용) / 조선시대 남성들의 통상적인 예복
- 원삼
- 고인의 웃옷(여성용) / 조선시대 여성들의 예복
- 천금
- 입관 시 고인을 덮는 이불
- 지금
- 입관 시 고인 아래 까는 요
- 습신
- 고인에 신기는 신발. 수의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.
- 관보
- 영구를 덮어 감싸는 덮개
- 수시포
- 사망 직후 고인을 덮어 모시는 홑이불
- 결관바(소창)
- 영구를 들어 모실 수 있도록 고정하는 용품
- 예단
- 푸른 실(청실)과 붉은 실(홍실)로 만들어진 용품으로 이승과의 결별, 저승과의 결연을 의미함
- 다라니
- 불경의 하나로 고인의 평안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용품
- 공포
- 관을 닦는데 사용하는 삼베 용품
- 횡대
- 매장할 때 영구 위에 흙이 직접 닿지 않도록 덮는 나무토막 혹은 널빤지
- 천판
- 관의 뚜껑
- 위패
- 고인의 성함을 적은 나무패
- 명정
- 고인의 관직, 본관, 성명 등을 쓴 붉은 천
- 부의록
- 문상객들의 이름과 부의금을 기록한 명부
- 혼백
- 고인의 혼이 머물 수 있도록 임시로 만들어 놓은 위패
- 완장
- 일제강점기 가정의례준칙으로 인한 장례 간소화에 따라 상주와 상복인을 표시하기 위해 팔에 착용하는 띠
- 상장
- 양복 형태의 상복을 입을 때 가슴에 부착하는 리본
- 굴건제복
- 전통 상장례의 상복. 거친 삼베로 만들어져 있으며 머리에 쓰는 두건과 입는 제복으로 이루어져 있다
장례절차
- 안치
- 시신의 부패 등을 막기 위하여 냉장시설에 모시는 것
- 입관
- 염습한 고인을 관에 모시는 것
- 발인
- 상가 또는 장례식장에서 영구를 운구하여 장지로 떠나는 절차
- 운구
- 영구를 장지로 운반하는 절차
- 성복제
- 입관 후 상주들이 상복을 입고 올리는 첫 제사. 현대 상장례에선 입관 전에 상복을 입기도 한다.
- 발인제
- 상가 또는 장례식장에서 영구를 운구하여 장지로 떠날 때 드리는 제사
- 상식
- 고인이 살아계실 때 식사하듯 빈소에 아침 저녁으로 올리는 음식상
- 산신제
- 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올리는 제사. 산신께 이 곳에 묘를 세우니 보우를 기원하는 제사
- 평토제
- 광중을 흙으로 메우고 평평하게 만든 뒤 올리는 제사.
- 성분제
- 봉분 (흙을 둥글게 올린 무덤형태)을 만든 뒤 올리는 제사
- 삼우제
- 발인 일로부터 2일째 되는 날 올리는 제사
- 봉안(납골)
- 화장한 유골을 용기나 전용시설에 모시는 장법. 과거 납골이라는 용어를 현재 봉안으로 사용하고 있다
- 산골
- 화장한 유골을 분골(곱게 가루 냄)하여 전용 시설에 뿌려 모시는 장법
- 자연장
- 화장한 유골을 분골하여 수목, 화초,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모시는 장법
- 해양장
- 화장한 유골을 분골하여 바다의 지정된 해역에 뿌려 모시는 장법
- 소렴
- 입관 절차의 하나. 고인에 수의를 입힌 후 관절을 묶어 관에 모실 준비를 하는 절차
- 대렴
- 입관 절차의 하나. 소렴이 끝난 고인을 멧베로 묶어 관에 모시는 절차
- 장법
- 고인을 모시는 방법. 우리나라에선 보편적으로 화장과 매장이 선호된다
- 매장
- 고인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모시는 것
- 화장
- 고인이나 유골을 불에 태워 모시는 것
- 탈관
- 가풍이나 지역에 따라 영구를 장지까지 운반한 뒤 매장지에서 관을 제거하고 고인만 땅에 묻어 모시는 것
- 관장(매관)
- 영구를 관 그대로 땅에 묻어 모시는 것
- 수시
- 고인이 굳어지기 전에 팔과 다리등을 가지런히 하는 것
- 결관
- 영구를 들어 모실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
장례시설
- 빈소
- 출상까지 고인의 관을 모셔두는 방/ 조문과 접객을 위한 공간을 통칭한 말
- 접객실
- 조문객을 대접하기 위한 장소
- 안치실
- 시신의 부패 등을 막기 위한 냉장시설 및 위생시설을 갖춘 장소
- 입관실
- 고인을 염습하고 입관하는 장소
- 참관실
- 염습, 입관 시 유족이 참관하는 장소
대명아임레디 조문예절
누구나 한 번쯤 장례식장에 갈 일이 생깁니다. 망자에 대한 애도를 표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자리인 만큼 올바른 조문 절차와 장례 예절을 안내해 드립니다.
1. 문상절차
-
1
상가(빈소)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둔다.
-
2
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.
-
3
분향 및 헌화한다.
- 분향 시 향나무를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고,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다.선향(막대향) 일 경우, 하나 또는 둘을 집어 촛불에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된다. 두 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는데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나 여러 개일 경우 반드시 하나씩 꽂아야 한다.
- 헌화 시 헌화를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 손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꽃봉오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재단 위에 올려둔다.
-
4
일어서서 잠깐 묵념 또는 두 번 절한다.
-
5
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한다.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.
-
6
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주에게 문상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때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된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은 좋지 않다.
-
7
문상이 끝나고 물어 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,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이다.
2. 절하는 방법
상례는 큰절을 두 번 한다
- 여성
-
- 공수(拱手) :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, 흉사(兇事) 시에는 왼손을 위로한다.
- 평절 : 무릎을 꿇고 앉아 양손을 무릎 양 옆에 바닥을 짚고 몸을 숙여 절한다.
- 남성
-
- 공수(拱手) : 평상시에는 왼손을 위로하고, 흉사(兇事) 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한다.
3. 문상 시 인사말
- 문상 후 평소의 친분관계 및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.
-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.
- 상주도 ‘고맙습니다 ’, ‘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'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.
4. 문상 시 삼가야 할 일
-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.
- 상주,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.
-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하도록 한다.
-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.
- 고인의 사망 원인, 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 또한 실례가 된다.
- 집안 풍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라도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예의다.
- 과도한 음주, 도박 등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성방가는 삼가야 한다.
5. 문상 시기
- 가까운 친척 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 오면,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례준비를 함께 하는 것이 좋다.
-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로하고 장의 절차, 예산 관계 등을 논의한다.
- 할 일을 서로 분담하여 책임 있게 수행한다.
-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고 영위에 문상한다.
-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절을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.
- 상을 당한 직후에는 문상객을 맞을 준비가 안 되어 있기 때문에 즉시 달려가서 도와주어야 하는 경우가 아닌 사람은 상가에서 성복이 끝나기를 기다린다.